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17/0564

[AWS] AWS를 제어하는 방법 AWS를 제어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콘솔, CLI, SDK, API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이것은 AWS의 인프라(EC2, S3)를 제어하는 방법 들이다. 각각의 방법들이 장점과 특색이 있으므로 다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차이를 알고 있다면 상황에따라 사용할수있는 폭이 넓어질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마존 웹서비스 홈페이지에 접근해서 서비스를 사용하는것은 GUI방식이다.이 방법의 장점은 익숙하고, 많은것을 배우지 않아도 눈에 보이는걸 바로 사용할 수 있다.우리는 기본적으로 GUI를 통해 인프라를 제어하는 것을 배웠지만아마존에서는 이것 외에도 앞서 언급한 방법들을 모두 제공한다. 첫번째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CLI(Command Line Interface)이다.여기서 말하는 Command.. 2017. 5. 17.
사이트맵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5. 17.
[AWS] Auto Scaling - 생성 Auto Scaling - 생성 앞서 설정한 것은 새로 생성되는 인스턴스에 대한 것 이었고,언제 어떤 조건에서 만들것이냐 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오토 스케일링 그룹이다.프로그래밍과 비교했을 때 이벤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Group name은 해당 오토 스케일링 그룹의 이름이다.우리가 먼저 설정한 Launch Configuration이 Group name 위에 있는데, 이는 해당 오토 스케일링이 실행될 경우미리 설정한 인스턴스가 만들어지는 것을 뜻한다.Group Size 라는 것은 오토 스케일링을 시작했을때 몇개의 인스턴스로 시작할까를 지정 하는 것이다.그 다음 subnet이라고 하는것을 클릭해서 안에 있는 내용을 다 적용해준다.이 Subnet이라고 하는 것은 가용 구역을 나타낸다.가용 구역은 지역 내.. 2017. 5. 17.
[AWS] Auto Scaling - Launch Configuration Auto Scaling - Launch Configuration 이전 포스팅에서 로드 밸랜서로 인스턴스를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았다.그러나 현실적으로 사용자가 언제 많이 접속 하는지 알수 없고,서버 관리자가 항상 서버를 살펴볼수 없으므로수동으로 계속해서 작업을 할 수 없다.따라서 기계(AWS)가 자동으로 로드 밸런스를 맞춰주는것이 오토 스케일링이라고 할수 있다.이로 인해 비용이 효율적으로 발생하며, 탄력적으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1. 전과 마찬가지로 부하 발생기와 테스트할 서버를 생성한다.2. AMI로 가서 전에 만들어 두었던 웹서버 이미지를 확인 한다.3. 좌측 카테고리에서 오토 스케일링을 찾아본다. 오토 스케일링은 위의 그림과 같은데, 두개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Launch Configuratio.. 2017.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