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220 [네트워크] HTTP의 기초 - 1 HTTP의 기초 - 1 웹은 월드 와이드 웹(WWW), 줄여서 WWW로 표시한다 인터넷과 웹은 다른것이다.인터넷은 미국 국방성에 의해서 개발된 ARPANET이 전신이며,웹은 팀 버너스리에 의해서 개발 되었다. 웹의 탄생 배경은 팀 버너스리가 다니던 회사 내부 여러 컴퓨터의 문서 교환이 불편한 관계로 효율적인 방법을 찾다가공통의 망으로 연결하여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한것이 시초이다. 웹의 3요소는 HTTP, HTML, URL이다프로토콜은 HTTP,전송하는 문서는 HTML,전송하는 문서의 고유한 주소는 URL이다. 여기서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통신 규약을 타내낸다.HTTP를 이용해서 WWW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수 있으며주로 .. 2017. 4. 18. [기술의역사] C++ (C 플러스 플러스) C++ (C 플러스 플러스) C++ 개발자 비야네 스트롭스트룹(Bjarne Stroustrup) 1983년 AT&T 벨 연구소의 비야네 스트롭스트룹이 C언어를 기반으로 객체지향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과 STL(Standard Templete Library)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언어이다. C언어를 기반으로 했기때문에 C++ 컴파일러에 C언어를 컴파일 할수있다. 초기에는 C 언어에 객체지향을 위한 기능을 추가한 언어라고 취급 되었다. 예로, 초기에 C++를 컴파일 하기 위해서는 작성된 C++에서 C로, C에서 기계여로 번역되는 순서를 보였다. 그러나 표준 규격이 바뀜에 따라 C언어와의 호환성은 깨지게 되었고, 현재는 완전히 별개의 언어로 보는것이 맞다고 본다. 보통 국내.. 2017. 4. 18. [기술의역사] C언어 C 언어 1972년 켄 톰슨과 데니스 리치가 개발한 고급 언어이다.당시 새롭게 개발한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급 언어가 필요했고톰슨이 이를 위해 B 언어를 먼저 개발했다. 사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시작된 CPL이라는 언어가 BCPL(Basic CPL)로 발전하게 되고,B언어는 이때 개발된 BCPL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후 B언어인 이유는 데니스 리치가 수정을 거쳐 C 언어가 탄생하게 되었다.언어의 이름이 C인 이유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B언어 다음에 나와서 C' 라는 이유가 가장 심플하다. B 는 벨(Bell) 연구소의 앞글자에서 따왔다. 이 때문에 기존에 어셈블리어로 개발되었던 유닉스 운영체제는 C로 전환되었고 이후에 등장한 많은 커널들도 C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꾸준히 등장하는 .. 2017. 4. 18. [기술의역사] 리눅스 Linux 리눅스 (Linux) 리눅스의 마스코트 턱스(Tux)그냥 펭돌이 정도가 어울리는데 리눅스는 1989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에 재학중이던 리누스 토르발즈(linus Torvalds)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공개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이다리눅스는 원래 커널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GNU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와 도구들이 포함된 전체 운영체제를 칭한다. 엔비디아가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분개하는 리누스 당시 학생이었던 리누스는 교육용 유닉스인 미닉스가 설치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마음에 안드는 부분을 추가하였고이것이 점차 거대해져서 새로운 운영체제가 되어버렸다.초기 미닉스는 교육용이었던 탓에 기능이 별로 없었으며 유닉스 기준인 POSIX를 만족하지 않았다.때문에 .. 2017. 4. 18.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