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220 [Android] tools:context란? 깃허브 등에서 안드로이드 소스를 찾아보다가xml에 tools:context라는 코드가 나와서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무엇에 쓰는 놈인고 하니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제공되는Graphycal Layout을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쓰는 소스란다. tools:context의 뒷부분을 확인해보면 확실히 클래스와 연결해주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아마도 클래스와 액티비티의 싱크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좀 더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쉽게 하는 용도로 보인다. 가장 아래 부분의 소스코드가 tools:context이다.결론적으로 Graphycal Layout을 잘 사용하지 않으면 없어도 무관하다. 2017. 4. 18. [Android] Firebase gradle 빌드 오류 Error:Failed to resolve: com.google.firebase:firebase-core:9.4.0 가 뜨며 제대로 빌드 되지 않는다. 이는 Googleplay Services버전이 낮아서 발생한다.따라서 SDK매니저를 실행시켜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된다. 업데이트 항목은Google Play services, Google Repository 이다. 업데이트를 실행 후 Sync now를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Firebase 홈페이지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및 google service에 대한 권장 버전이 나오니개발자페이지에서 확인 바란다. 2017. 4. 18. [Android] 카카오톡 로그인 앱 중지 안드로이드에서 카카오톡 로그인을 구현 중디바이스에서 켜지지도 않고 오류로 꺼지는 경우가 있다. 카카오톡 개발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샘플 소스를 사용한다고 가정 하였을 때가장 큰 이유는 세션 초기화이다. 대부분 Login Activity의Session.getCurrentSession().addCallback(callback)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로그를 확인해보면 오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23java.lang.RuntimeException: Unable to start activity ComponentInfo{com.xxxx.xxxx.xxxx/com.xxxx.xxxx.xxxx.LoginActivity}: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Session is not i.. 2017. 4. 18. [AWS] 외부에서 서버 IP로 연결이 되지 않을 때 AWS를 설정하고 로컬 호스트로는 접속이 되는데 외부에서 서버 IP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뿐만아니라 내부에서도 서버 IP는 접속이 되지않는다. 아무리 AWS의 security group의 허용 포트를 추가 해봐도 접속이 되지 않는다. 몇시간 구글링한 끝에 해답을 찾아냈다. 바로 서버 내부에서 수동으로 방화벽을 해제 하는 것이다. 1. 윈도우에서 방화벽을 검색한다.(firewall) 2. 방화벽의 모습이다. 좌측에 Advanced settings를 클릭해주자. 3. 좌측에 Inbound Rules를 클릭한다. Inbound는 내부, Outbound는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화벽 규칙이다. Inbound Rules 클릭 후 오른쪽에 New Rule을 클릭하여 새롭게 내부에서 허용하는 포트를 추가하자.. 2017. 4. 18.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