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220 [Spark] 스파크 모듈 소개 STM32를 공부한지는 얼마 안되었지만 이거저거 사고 굽고 태워먹고 하면서 접해본 모듈이 몇가지 되네요 그중에서도 지금 사용하는 모듈은 Paticle의 Spark Photon이라는 모듈인데요사실 이것도 정식명칭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맞겠죠. 홈페이지에서 판매중인 모듈들입니다.Core에 SOLD OUT 딱지가 붙어있습니다. 이유는 잘모르겠지만 품절이네요. 사실 저도 이걸 쓰면서 왜 사용하라고 했는지 잘 몰랐으나 오늘 그 기능을 써보니 참 신기했습니다.단순히 와이파이가 내장된 모듈로만 알고 있었으나, 원격으로 High, Low가 조정이 되더라고요. 그럼 긴말 말고 바로 기능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앱 설명도 공돌이가 썼나봅니다 먼저, 앞에서 포스팅 했던것과 같이 개발환경을 구축하여 application.c.. 2017. 4. 18. [Spark] 스파크 모듈 개발환경 구축 스파크 모듈 개발 환경 구축 M3가 코어로 사용된 STM32를 기반으로하는 Spark 모듈의 Windows 개발환경 구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자료는 하단 유튜브의 강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xBCxYbtDbVA 1)폴더 생성 C드라이브에 'SparkCorePrograms'와 'Spark'폴더를 생성합니다.앞으로 다운 받는 Spark 관련 자료들은 해당 폴더들로 이동 할 것입니다.폴더 생성 후 자료를 다운 받기 위하여 Spark 자료들이 있는 github로 이동합니다.https://github.com/spark/firmware#1-download-and-install-dependencies 2)GCC 다운로드 접속한 페이지에서 하.. 2017. 4. 18. [Smartrobot] 아두이노 포팅 오늘은 오로카 강좌용 보드인 STM32- Smartrobot 보드를 이용하여 아두이노 포팅을 해 보았습니다.해당 보드에 대한 핀맵 및 회로도는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openrt/1812 - 포팅 - 포팅이란?:이식(移植) 또는 포팅(porting)은 컴퓨터 과학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원래 설계된 바와 다른 컴퓨팅 환경(이를테면 CPU, 운영 체제,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 등)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가 다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변경되는 것에도 해당한다. 소스 하나로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크로스 플랫폼으로 부른다. 사실 저도 공부한지 얼마 안되어서 포팅이 뭔지 명확하게 개념이 잡혀있지 않습.. 2017. 4. 18. [STM32] 소스에서 메모리 주소 찾기 이번에는 Spark 모듈의 소스를 바탕으로 메모리 주소를 찾는 법을 알아 봅시다.아시다시피 STM32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레지스터를 세팅하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메모리에는 어떤식으로 접근해야하고 메모리 주소는 어떻게 찾는지 알아봅시다 일단 stm32f10x.h의 RCC_TypeDef 구조체를 살펴봅시다 위에 나타난 화면이 헤더파일 중 RCC_TypeDef의 구조체 입니다.CR, CFGR등 코어의 레지스터 이름이 많이 보이네요프로젝트에서 Find를 선택한 후 RCC_TypeDef를 키워드로 찾기를 진행합니다. RCC에 대한 define을 찾습니다. RCC_TypeDef 다음 RCC_BASE가 있네요. 이걸 키워드로 Find 하여 다시 거슬러 올라갑시다. RCC_BASE에.. 2017. 4. 18.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