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220 [기술의역사]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 (웹 프로그래밍 3대장 - 아카이누 키자루 아오키지) 앞선 포스팅에서 살펴본 HTML에서 말했듯이,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페이지 구현을 위한 언어이다.버튼 클릭시 이벤트의 상세한 구현이나 서버와의 통신이 대부분 자바 스크립트로 이루어진다.자바스크립트는 이름에서도 알수 있듯이 스크립트 언어로써, 인터넷 브라우저의 스크립트 엔진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름부터 자바와 비슷한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브랜던 아이크라는 사람이 10일만에 설계한 언어로써, 초기에 이름을 몇번씩 바꾸면서 'Java와 구문의 유사성이 있으므로 Java Script라는 이름으로 최종결정되었다'라고 하지만 대외적으로 알려진것은 역시 그 당시 뜨거웠던 자바의 인기에 어느정도 편승하기 위한 전.. 2017. 6. 1. [파이썬&루비] 객체(Object) 객체(Object)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이라는 말에서도 알수 있듯이객체는 OOP의 기반이 되는 개념중의 하나이다. 함수만 묶어 놓았던 모듈과는 다르게, 객체에서는 변수와 함수를 묶어서 찍어낼수 있는 개념이다.이렇게 객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을 인스턴스라고한다.여기서는 객체에 대한 개념을 깊게 다루지는 않을 것이며,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다. 12345678# pythonclass Cal(object): # 클래스 코드 #rubyclass Cal # 클래스 코드endcs 먼저 class 키워드를 사용해서 객체를 만들어 준다. 이때, 루비는 역시 end 키워드를 사용해서 객체 생성 코드를 닫아주며,파이썬은 class뒤에 객체이름(object):를 .. 2017. 6. 1. [파이썬&루비] 모듈(Module) 모듈(Module) 모듈이라고 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부품이다.어떻게 보면 함수도 부품이라고 할수 있는데, 함수보다 더 큰 규모의 파일이 모듈이 된다.예를 들어,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학년으로 분리한다.그러다가 학년이 감당할수 없을 만큼 규모가 증가하면 반이라는 단위로 나뉘게 된다.만약 학년과 반의 개념이 없고 학교만 있다면, 학생들이 무질서하게 분포되어있으므로문제가 생기게 된다. 학년은 교육 정도나 나이에 따라 분류되어지고, 반은 생일이나 키, 이름에 기반한 번호로 줄세워진다.이와 같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성격이 비슷한 파일들을 하나의 디렉토리에 묶어준다.따라서 모듈은 코드의 복잡도를 낮추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12345678# pythoni.. 2017. 5. 31. [파이썬&루비] 함수(Function) 함수(Function) 12345678910# pythondef func(): print('Hi!') func() # rubydef func() puts('Hi!')endfunc()cs 중복의 제거와 재사용성, 코드의 효율성에 기반하여 프로그래밍은 발전해 왔다.그 중에서도 함수는 재사용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코드를 만들기위해 꼭 필요한 존재이다. 함수의 기본 개념은 입력값이 있으면 출력 값을 주는 코드이다.물론 이 입력값의 개수는 0개부터 여러개가 될 수도 있다.우리가 이때까지 사용하던 print도 함수의 종류이다.print나 len등은 언어에서 제공해주는 내장함수이며, 별도의 설치나 조작이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 지정 함수를 만들수도 있다.위의 코드가 지정 함수에 대한 예제인데, 그렇게 효율적인.. 2017. 5. 31.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