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40

[Javascript] Scope와 변수 Scope와 변수 Scope는 '범위'를 나타낸다.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변수가 적용되는 '유효 범위'의 개념이다. 유효 범위에 따라서 변수는 지역 변수(Local variable)와 전역 변수(global variable)로 나뉜다.예를 들어 지역 변수는 해당 스코프, 즉 자신이 영향을 미칠수 있는 범위에서만 호출, 변경 될 수 있고전역 변수는 전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이는 프로그래밍에서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며 각 언어마다 스코프의 개념이 조금 다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가 대표적으로 Scope의 개념이 전통적인 방식과 다른 예인데,C나 Java 등의 언어는 블록 단위로 스코프가 매겨지만, 자바 스크립트는 함수 단위 스코프이다. 그 말인즉, C나 Java 등이 if나 while 등의 블록 내에서 변.. 2017. 5. 24.
[Javascript] 객체(Object) 객체(Object) 1234var MyInfo = { firstName: 'nu', lastName: 'nu'};cs 자바스크립트에는 (Boolean, Null, Undefined, Number, String, Symbol (ES6), Object)다음과 같은 7개의 자료형이 존재한다. 이 중에 Object(객체)를 제외한 자료형은 원시형(Primitive type)이며 Object는 원시형이 아니다.함수 또한 1급 객체로써 Object 타입에 들어가며, 배열도 객체이다. 위의 코드에서 콤마로 구분되는 값들을 속성(Property)이라고 한다.이 때, 좌측의 값이 key, 우측의 값이 value이다.즉 속성은 Key : Value 값으로 이루어져있다. 배열(Array) 12var firstArray = .. 2017. 5. 23.
[AWS] S3 소개 S3 소개 아마존 웹서비스의 S3라는 서비스는 Simple Storage Service이다.즉 쉽게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서버를 구축해서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겠지만,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S3를 사용한다면저장에만 초점을 맞춰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3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높은 내구도로 중요한 정보를 안심하고 저장할 수 있다.99.999의 객체 내구도를 가진 인프라이다. 여기서 내구도는 유실될 가능성을 나타낸다.여러시설과 각 시설에 중복 저장 되므로 서버 하나가 파괴 되더라도 다른 저장소에 남아있다. 2. S3는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서버를 운영한다고 하면 인스턴스를 구매해야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다.S3는 사용하는 만큼만 비용을 내면 되기때문.. 2017. 5. 23.
[AWS] S3  콘솔을 통한 기본 조작 방법 S3 콘솔을 통한 기본 조작 방법 S3는 아마존 웹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이다.우선 AWS 서비스 콘솔에서 S3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들어올 수 있다.여기서 S3을 사용 하기 위한 버킷(Bucket)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여기서 버킷이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와 같은 의미이다. Create Bucket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여기서 버킷을 이름을 입력한 후 Create를 클릭하면 버킷이 생성된다.단 여기서 주의 할 점은, 버킷을 이름을 지정할때 AWS에서 중복되지 않는 이름을 넣어야한다.(스타워즈나 스타트렉 등의 유명한 단어는 이미 있을 확률이 높다) 버킷이 만들어지면 위와같이 empty 화면이 뜰것이다.파일을 추가 하기위해서는 Upload 버튼을 눌러야 한다.. 2017. 5. 23.
[AWS] Nodejs를 위한 AWS SDK Nodejs를 위한 AWS SDK AWS에서 제공하는 SDK중에서 Javascript Node JS버전을 사용해보자이를 위해 AWS SDK Javascript Node JS라고 구글에 검색을 하면 첫 번째 탭에 공식 홈페이지가 나온다. 공식홈페이지를 클릭하면 위 그림과 같이 아마존 홈페이지로 연결되는데여기서 개발자 안내서를 클릭하자 그러면 Node js에서 AWS SDK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순서가 나온다우선 당연히 Node js를 위한 실습 환경이 구축 되어야한다. 1npm install aws-sdk --save cs 그리고 나서 패키지 관리자인 npm으로 aws-sdk를 설치해준다. 명령어는 위와 같은 코드를 터미널창에 입력해 주면된다.주의할 점은 npm init이 되어있는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설치.. 2017. 5. 18.
[AWS] AWS를 제어하는 방법 AWS를 제어하는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콘솔, CLI, SDK, API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이것은 AWS의 인프라(EC2, S3)를 제어하는 방법 들이다. 각각의 방법들이 장점과 특색이 있으므로 다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차이를 알고 있다면 상황에따라 사용할수있는 폭이 넓어질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마존 웹서비스 홈페이지에 접근해서 서비스를 사용하는것은 GUI방식이다.이 방법의 장점은 익숙하고, 많은것을 배우지 않아도 눈에 보이는걸 바로 사용할 수 있다.우리는 기본적으로 GUI를 통해 인프라를 제어하는 것을 배웠지만아마존에서는 이것 외에도 앞서 언급한 방법들을 모두 제공한다. 첫번째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CLI(Command Line Interface)이다.여기서 말하는 Command.. 2017. 5. 17.
사이트맵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5. 17.
[AWS] Auto Scaling - 생성 Auto Scaling - 생성 앞서 설정한 것은 새로 생성되는 인스턴스에 대한 것 이었고,언제 어떤 조건에서 만들것이냐 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오토 스케일링 그룹이다.프로그래밍과 비교했을 때 이벤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Group name은 해당 오토 스케일링 그룹의 이름이다.우리가 먼저 설정한 Launch Configuration이 Group name 위에 있는데, 이는 해당 오토 스케일링이 실행될 경우미리 설정한 인스턴스가 만들어지는 것을 뜻한다.Group Size 라는 것은 오토 스케일링을 시작했을때 몇개의 인스턴스로 시작할까를 지정 하는 것이다.그 다음 subnet이라고 하는것을 클릭해서 안에 있는 내용을 다 적용해준다.이 Subnet이라고 하는 것은 가용 구역을 나타낸다.가용 구역은 지역 내.. 2017. 5. 17.
[AWS] Auto Scaling - Launch Configuration Auto Scaling - Launch Configuration 이전 포스팅에서 로드 밸랜서로 인스턴스를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았다.그러나 현실적으로 사용자가 언제 많이 접속 하는지 알수 없고,서버 관리자가 항상 서버를 살펴볼수 없으므로수동으로 계속해서 작업을 할 수 없다.따라서 기계(AWS)가 자동으로 로드 밸런스를 맞춰주는것이 오토 스케일링이라고 할수 있다.이로 인해 비용이 효율적으로 발생하며, 탄력적으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1. 전과 마찬가지로 부하 발생기와 테스트할 서버를 생성한다.2. AMI로 가서 전에 만들어 두었던 웹서버 이미지를 확인 한다.3. 좌측 카테고리에서 오토 스케일링을 찾아본다. 오토 스케일링은 위의 그림과 같은데, 두개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Launch Configuratio.. 2017. 5. 17.
반응형